unity(25)
-
프리팹 의 복사 수정 ( copy - modify )
유니티에서 프리팹은 상당히 유용하다 같은개체의 오브젝트를 여러개 찍어낼때라던가, 프로젝트 내 특정씬의 오브젝트를 다른 프로젝트로 이동시킬때.. (기존의 프로젝트를 조금만 가공하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려고 할때 의외로 많이 쓰인다..) 프리팹을 익스포트하고 임포트 시키는 방법으로... 그리고 이 이동 기능을 이용해서 여러명이 협력 작업을 할 수 있다. (같은 프로젝트로 동시에 다른 작업 후 가공한 오브젝트만 익스포트해서 한군데서 합친다..SVN작업은 같은씬을 동시에 고치면 충돌이 일어난다) 프로젝트의 프리팹을 다른 프로젝트에서 가공해서 기존프리팹은 그대로 두고 새로운 프리팹을 추가하고 싶다 그런데 이렇게 이동을 하다보면 원치않는 결과가 생길때가 있다. 기존의 프리팹은 그대로두고 다른 프로젝트에서 가공한 ..
2015.10.16 -
Unity에서 Prefab 연결끊기
프리팹은 상당히 유용하면서도 가끔씩 귀찮다 특히 더이상 프리팹으로 활용하고 싶지 않을때 기존 오브젝트에 걸려있는 링크가 신경쓰일때가 있다. 또는 프리팹을 삭제하여 빨갛게 미싱난 상태의 오브젝트가 꼴보기 싫을때... 1) 프리팹을 삭제해 연결이 끊어져 빨갛게 미상난 경우 ==>유니티 상단 게임오브젝트 목록에서 break Prefab Instance 를 클릭한다 ==>클릭하면 셀렉트버튼이 남아있지만 다른오브젝트 찍고 돌아와보면 없어져있다. 해결. 2) 프리팹은 살려두고 프리팹 연결만 끊고싶을때 ( 여러개의 프리팹중 하나만 연결을 끊고싶을때) ==>연결을 끊고 싶은 프리팹오브젝트 대상을 프로젝트로 드래그해서 새로운 프리팹 개체로 만든다. ==>새로운 개체로 만든 프리팹 삭제하면 빨갛게 미싱이 난다. ==>1번..
2015.08.25 -
Audio Clip 이펙트음 설정 관련 주의사항
사운드로 사용할 음악파일의 로드타입은 기본적으로 Decompress on load 를 사용하도록 하자. Decompress on load 는 씬전환시 바로 씬의 포함된 해당 음악파일을 압축풀기 후 메모리 저장까지 진행한다. 이 설정을 해두어야 사운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파일을 프로젝트에 등록시에는 compressed in memory 타입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사운드 사용시에 압축풀기 후 사용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바로 사운드를 플레이해주어야하는데 압축해제에 시간을 들여서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때문에 Decompress on load 설정으로 미리 해제해두도록 하고, 이 설정으로 인해 메모리가 부하가 걸리거나 음악파일의 용량이 큰경우 에만 예외적으로 처리하도록 한다.
2015.07.06 -
Unity에서 Transform을 이용하여 LocalPosition <-> Global position 벡터 크기를 변경하는 팁.
유니티 작업을 할때 이미 오브젝트의 트렌스폼에서 로컬 글로벌 포지션을 각각 따로 저장해두고 있기때문에 읽어올 때는 무리가 없지만, 로컬과 글로벌 좌표를 혼용하여 사용할때 임의의 벡터값만큼의 이동이나 스케일 변환등을 시도하려하면의도치 않은 변화가 일어날 때가 있다. 로컬 좌표의 vector3( 0f, 30f, 0f) 만큼의 이동을 하려고 할때 글로벌 좌표의 포지션을 이용하고 있으면 계산을 할때 글로벌좌표로 변환해 주어야 한다. 1. 프로그램 전반에서 사용하는 소스에서 transform을 하나 임의로 만들어 둔다. transform tempT; 2. transform 에 local이나 global 벡터값을 하나 대입한 뒤, 변환하고자 하는 값을 읽어다 쓰면 유니티 프로그램상에서 값을 저장할때 자동으로 변환된..
2015.06.04 -
C# List 정렬 ,검색, 삭제
1.리스트 구조로 사용할 클래스 를 작성하고 public class BookListpage { public int m_pageNum {get; set;} public bool m_mine {get; set;} public string m_name {get; set;} public string m_money {get; set;} public string m_rank {get; set;} } 2. 리스트 생성한뒤 public List dealerList; dealerList = new List(); 3.값을 넣고 BookListpage tmpPage = new BookListpage(); //값채우기 dealerList.add(tmpPage ); 4.델리게이트 이용하여 정렬 dealerList.Sort( d..
201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