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4)
-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화면 크기 구하기
기존에 화면사이즈를 받아오던 getWidth(), getHeight() 함수가 3.2 버전부터 사용이 중지되었고, Point pt = new Point();getWindowManager().getDefaultDisplay().getSize(pt);((WindowManager) getSystemService(WINDOW_SERVICE)).getDefaultDisplay().getSize(pt);int height = pt.x;int width = pt.y; 이런 정도로 고쳐쓰던 것마저 사용이 불가한 API버전이 있어서 완전한 해결책이 못되는 상황... 그래서...현재 사용가능한 소스 :DisplayMetrics dm = getApplicationContext().getResources().getDispla..
2015.01.20 -
디바이스의 현재 orientation 확인하기
디바이스의 현재 orientation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기본적으로 [[UIDevice currentDevice] orientation];메소드를 통해서 알수 있다. UIDeviceOrientationPortraitUIDeviceOrientationPortraitUpsideDownUIDeviceOrientationLandscapeRightUIDeviceOrientationLandscapeLeft 의 ENUM 값으로 반환해주는데,최초 실행시에는 잘 나오지만 어째서인지 같은 함수안에 같은 인자로 들어가는데 다음부터는 널을 반환한다.-누군가 다른 블로그에서는 최초만 잘 안나온다고 하기도 한다. 어쨌든 항상 같은 결과를 주지 않는다면 문제가 있다. 반면[[UIApplication sharedApplication..
2015.01.15 -
지이크 파렌하이트의 가죽 버튼탭 트렌치 코트
얼마전까지만해도 여름이었는데... 가을인것 같은지 얼마나 됐다고 춥네요. 왕좌의 게임이 생각나네요.. 겨울이 오고있다. 쌀쌀할때 가디건 에서 한겨울 패딩으로 넘어가기 중간시기에 역시 코트만한게 없는 것 같아요 하지만 이제는 그냥 밋밋한 코트는 손이 잘 안가더라구요. 겨울에 코트입으면 코트밖에 안보이는데... 이런 배색 코트가 코디의 심심함을 달래줄수 있을것 같습니다. 겨울 코디는 코트+목도리 죠.... 깃을 채울수 있는 버클이 있는데 이부분이 맘에 듭니다. 하....벌써 위시리스트에 담아둔지 2~3년인 이 코트를 사지 못하고 있는건 순전히 키때문입니다. 키빨만 잘 받았어도 ㅠㅠ 근데 옷이 이렇게 2~3년간 위시리스트에서 사라지지 않는다는건, 그때 샀으면 참 오래 잘 입었겠다는 생각이 들긴합니다. 주머니 ..
2014.10.14 -
웰빙지수? 한국, 파나마
미국 여론조사기관인 갤럽과 보건 컨설팅업체 헬스웨이에서 세계 웰빙지수에 대해 설문 집계 한 결과 한국은 135개국 중에서 75위.. 1위국은 파나마였다고 한다. 세계 웰빙지수란.. 목표의식, 사회관계, 공동체, 재정, 건강 등 5개 항목에 대해 번영 중, 고전 중, 고통받는 중 등 3개 중 택1하여 대답하는 설문으로 국민이 느끼는 생활수준에 대한 지수이다. 이런 결과에 대해 처음 봤을 때의 반응은 '한국이 그럼 그렇지...' 라던가 ' 파나마는 어떤 곳인가?' 라는 궁금증 정도였는데, 그래서 내삶은 어떤가 찬찬히 짚어보며 생각해보니, 번영 중(1점), 고전 중(0점), 고통받는 중(-1점) 이라고 치고... 2점은 되는 것 같다. 그냥 문득 우리나라 상황이 경쟁적이고, 요구하는 것도 많고, 타인의 시선에..
2014.09.17 -
[루시] 사람의 두뇌사용 비율에 대한 상상...
사람이 평생 사용하는 두뇌의 양은 지극히 적은 양이라는 것은 아마 다 알고 있는 상식일 것이다.하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다는 의견도 있다. 사람은 뇌의 10%정도만을 활용하고 죽는다는 말이 거의 정설처럼 되어있고, 심지어 아인슈타인조치 뇌의 15프로 미만을 사용했다는 이야기들이 상식처럼 퍼져있는 가운데( 미국과 영국의 설문을 토대로 보면 대부분의 지성인들이 이 사실을 믿고 있다고 한다 ), '신경전문의' 들은 우리가 아주 간단한, 예를들면 노래를 듣거나 걷는 중에도 뇌의 100%를 활용하고 있다고 말한다. 사람이 뇌의 어느 부분을 사용해 과제를 수행하는지를 볼 수 있는 기능자기 공명영상 촬영 결과, 사용되지 않고 잠들어 있는 뇌의 부분은 거의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수행 과제 마다 주로 사용되는 뇌의 부..
2014.09.09